
1. 공항정보:
* 1청사 (Terminal 1)
* 1청사 (Terminal 1)
- 게이트 (+스팟) 수: 25
+ 탑승교 수 : 6개
- 연간 수용 가능 인원 : 450만 명
* 2청사 (Terminal 2)
- 게이트 (+스팟) 수: 29
+ 탑승교 수 : 14개
- 연간 수용 가능 인원: 850만
* 화물청사 (Terminal Fret)
- 연간 처리 가능 화물 양 : 30,000t / year
* 총합
- 승객 3000만 명 수용 가능.
- 시간 당 56 비행편 수용 가능. (착륙: 26 / 이륙: 30)
2. 노선망
* 프랑스 국내선
- 파리발 노선 전량 커버
+ 파리-니스 셔틀노선 구축
* 유럽 내선
- 지방-허브 노선을 최우선으로 구축
+ 레저노선이 다음 우선 순위
- E170 비행 가능 거리 반경 내에 취항지 결정
+ 고수요 노선은 B738 투입
* 아프리카+중동 노선
- 북아프리카 마그레브 국가들을 최우선으로 취항
+ 수요에 따라서 B738~A332/333 투입
- 중동 노선은 터키와, 도하/두바이.
* 북미행 노선
- 수요에 따라서 A332/B77L 투입
+ 현재는 노선 계획을 보류
3. 허브정보, 투입 기종 및 수량
한불항공그룹에서 별도의 자회사로 분리, 한불항공의 명칭을 계속 사용하되, 항공기와 스케줄은 완전히 독립적으로 관리 및 운영.
항공기는 한불항공그룹에서 웨트리스하는 방법으로 항공기와 승무원, 정비시설 확충. 잔여 항공기를 사용함으로 신규 주문은 없음.
경정비는 니스공항 KOFES의 경정비 지원센터를 사용.
* 노선별 정리 (하루 취항 횟수는 미정/수요에 따라서 조절)
- 프랑스 국내선 : E170 위주로 투입. 고수요 노선에는 B738 투입 또한 LGV 연결이 없는 도시는 B738 투입.
+ 초기에는 파리 허브와 같이 10 국내선 + 2개의 신규 노선 (코르시카)
- 유럽내선 : E170와 B738을 적절히 투입.
+ EU (유럽연합) 가입국과 쉥겐지역 주요 허브를 취항. 약 6~10개의 도시를 고려 중.
- 아프리카 : B738로 지방-지방 노선을 연결, 지방-허브는 A332/333 투입.
+ 마그레브 국가 (튀니지아, 알제리아, 모로코)를 위주로 취항지 선정. 약 8개의 도시를 고려 중.
- 중동 : A332/333 투입.
+ 이스라엘과 레바논, 터키, 카타르, 두바이.
- 북미 : 차후에 결정 (A332/B77L 위주로 편성)
+ 수요가 있는 캐나다 노선을 고려 중 (퀘백/몬트리올)
+ 탑승교 수 : 6개
- 연간 수용 가능 인원 : 450만 명
* 2청사 (Terminal 2)
- 게이트 (+스팟) 수: 29
+ 탑승교 수 : 14개
- 연간 수용 가능 인원: 850만
* 화물청사 (Terminal Fret)
- 연간 처리 가능 화물 양 : 30,000t / year
* 총합
- 승객 3000만 명 수용 가능.
- 시간 당 56 비행편 수용 가능. (착륙: 26 / 이륙: 30)
2. 노선망
* 프랑스 국내선
- 파리발 노선 전량 커버
+ 파리-니스 셔틀노선 구축
* 유럽 내선
- 지방-허브 노선을 최우선으로 구축
+ 레저노선이 다음 우선 순위
- E170 비행 가능 거리 반경 내에 취항지 결정
+ 고수요 노선은 B738 투입
* 아프리카+중동 노선
- 북아프리카 마그레브 국가들을 최우선으로 취항
+ 수요에 따라서 B738~A332/333 투입
- 중동 노선은 터키와, 도하/두바이.
* 북미행 노선
- 수요에 따라서 A332/B77L 투입
+ 현재는 노선 계획을 보류
3. 허브정보, 투입 기종 및 수량
한불항공그룹에서 별도의 자회사로 분리, 한불항공의 명칭을 계속 사용하되, 항공기와 스케줄은 완전히 독립적으로 관리 및 운영.
항공기는 한불항공그룹에서 웨트리스하는 방법으로 항공기와 승무원, 정비시설 확충. 잔여 항공기를 사용함으로 신규 주문은 없음.
경정비는 니스공항 KOFES의 경정비 지원센터를 사용.
* 노선별 정리 (하루 취항 횟수는 미정/수요에 따라서 조절)
- 프랑스 국내선 : E170 위주로 투입. 고수요 노선에는 B738 투입 또한 LGV 연결이 없는 도시는 B738 투입.
+ 초기에는 파리 허브와 같이 10 국내선 + 2개의 신규 노선 (코르시카)
- 유럽내선 : E170와 B738을 적절히 투입.
+ EU (유럽연합) 가입국과 쉥겐지역 주요 허브를 취항. 약 6~10개의 도시를 고려 중.
- 아프리카 : B738로 지방-지방 노선을 연결, 지방-허브는 A332/333 투입.
+ 마그레브 국가 (튀니지아, 알제리아, 모로코)를 위주로 취항지 선정. 약 8개의 도시를 고려 중.
- 중동 : A332/333 투입.
+ 이스라엘과 레바논, 터키, 카타르, 두바이.
- 북미 : 차후에 결정 (A332/B77L 위주로 편성)
+ 수요가 있는 캐나다 노선을 고려 중 (퀘백/몬트리올)
'Kofra Air > Kofra Air Press Roo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한불항공 니스허브 프로젝트 계획서 (2) | 2012.06.30 |
---|---|
고맙습니다. (7) | 2012.02.14 |
한불항공 지방허브 결정 (4) | 2012.02.04 |
한불항공 동계 스케줄 개정 발표 (2) | 2011.12.17 |
Active Korea Traffic Pack 4.2 Unofficial Patch Announcement - RyanAir (2) | 2011.12.10 |